신경내분비종양 NET(Neuroendocrine Tumor, 신경내분비종양)


신경내분비종양 NET

신경내분비종양 NET(Neuroendocrine Tumor, 신경내분비종양) 은 신경내분비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을 말합니다. 신경내분비세포는 신경계와 내분비계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며,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할 수 있습니다.

1. 특징

  • 발생 부위: 소화관(위, 소장, 대장, 직장), 췌장, 폐 등 전신에 발생할 수 있음
  • 성장 속도: 비교적 천천히 자라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는 빠르게 진행하는 고등급 악성종양(NEC, Neuroendocrine Carcinoma) 으로 나타날 수 있음
  • 호르몬 분비 여부:
    • 기능성 NET: 호르몬을 분비하여 증상을 일으킴 (예: 인슐린종 → 저혈당, 가스트린종 → 위산과다/소화성 궤양 등)
    • 비기능성 NET: 호르몬 증상은 없지만 종양 크기/위치에 따라 압박 증상이나 우연히 발견됨

2. 분류

  • WHO 분류 (2022 기준 요약)
    • G1 (저등급): 분화가 잘 되어 있고, Ki-67 < 3%
    • G2 (중등급): Ki-67 3~20%
    • G3 (고등급): Ki-67 > 20%, 그러나 세포 형태에 따라 NET과 NEC로 다시 구분
  • NEC (Neuroendocrine Carcinoma): 미분화된 고등급 암종으로 진행이 매우 빠름

3. 진단

  • 내시경 및 조직검사: 소화관 NET 확인에 중요
  • 영상검사: CT, MRI, PET(특히 Ga-68 DOTATATE PET)
  • 혈액·소변검사: 크로모그라닌A(Chromogranin A), 5-HIAA 등

4. 치료

  • 수술적 절제: 가장 효과적인 치료 (가능할 경우)
  • 약물치료:
    •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Octreotide, Lanreotide): 호르몬 증상 억제 및 종양 성장 억제
    • 표적치료제 (Everolimus, Sunitinib 등)
    • PRRT (Peptide Receptor Radionuclide Therapy):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
  • 항암치료: 고등급(NEC)에서는 전신 항암제 사용

5. 예후

  • 저등급 NET은 비교적 예후가 좋으며 수년 이상 생존 가능
  • 고등급 NEC는 빠르게 진행하고 예후가 나쁨


NET의 발생률

전 세계: 인구 10만 명당 약 2~5명 정도 새로 발생 (서양 기준, 증가 추세)

한국: 2021년 기준, 전체 암의 약 1% 미만으로 보고됨 → 희귀암 분류

  • 특히 직장 NET은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흔히 발견되는 편이라, 전체 NET 중 비율이 높음

희귀암 분류에는 속하지만, 환자들이 모두 생소하게 느낄 정도로 극히 드문 암은 아니며, 특히 직장 NET은 내시경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많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